2025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, 이자, 정부기여금, 기간
2025년부터 청년도약계좌가 더욱 강화된 혜택으로 돌아왔습니다.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새로 개선된 내용들을 소개합니다.
📈 2025년 청년도약계좌의 변화된 혜택
- 정부기여금 확대: 모든 소득 구간에서 기여금 지급액이 상향되었습니다.
- 3년 이상 유지 시 혜택 강화: 중도 해지하더라도 비과세 혜택과 일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신용점수 가점: 2년 이상 가입 및 800만 원 이상 납입 시 신용점수가 상승합니다.
📈 정부기여금 지급 한도 인상
2025년부터 정부는 소득 수준에 따라 기여금을 차등 지급하며, 월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한 금액에 따라 지원이 이루어집니다.
개인소득 (연, 총급여) | 기여금 최대 지급 규모 | 월 납입금액 | 월 기여금 |
---|---|---|---|
2,400만원 이하 | 월 3만 3천원 (9천원 증가!) | 70만원 | 3만 3천원 |
2,400만원 초과 ~ 3,600만원 이하 | 월 2만 9천원 (6천원 증가!) | 70만원 | 2만 9천원 |
3,600만원 초과 ~ 4,800만원 이하 | 월 2만 5천원 (3천원 증가!) | 70만원 | 2만 5천원 |
4,800만원 초과 ~ 6,000만원 이하 | 월 2만 1천원 | 70만원 | 2만 1천원 |
예를 들어, 연 소득 2,400만 원 이하인 청년이 매달 70만 원씩 납입하면 월 3만 3천 원의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이는 기존보다 9천 원 증가한 금액입니다.
🛡️ 3년 이상 유지하면 혜택 UP!
2025년부터는 3년 이상 가입한 경우, 중도 해지하더라도 비과세 혜택과 일부 기여금(60%)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이는 예기치 못한 상황에도 자산 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.
⭐ 신용점수 UP! 부분 인출 서비스 제공
2년 이상 가입하고 800만 원 이상 납입하면, 개인신용평가점수가 5~10점 상승합니다. 또한 2025년 하반기부터는 부분 인출 서비스도 제공되며, 급하게 자금이 필요할 때 계좌를 해지하지 않고도 일부 금액을 인출할 수 있습니다.
🙋🏻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
- 나이: 만 19세~34세 청년
- 개인소득: 총 급여액 7,500만 원 이하
- 가구소득: 가구원 중위소득 180% 이하
단, 소득이 없거나 소득 증명이 불가능한 경우, 과거 3년 중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,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가입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🗓️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
- 2025년 1월 가입 신청 기간: 1월 2일 ~ 10일 (영업일 기준)
- 이후 매월 1일 ~ 10일에 가입 가능
- 신청 방법: 취급 은행 앱을 통해 비대면 신청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